비평가가 듣고 싶은 찬사 중에는 이런 것이 있다. “당신의 글을 읽기 위해서 그 작품들을 봤어요.” 내가 김혜리에게 하고 싶었으나 아직 못 한 말은 이것이다. “당신처럼 써보고 싶어서 영화를 제대로 보기 시작했어요.” 그의 글은 다음 네 요소로 이루어진 예술작품이기 때문이다.
첫째, 분석. 분석이란 본래 해체했다가 재구성하는 일이어서 작품에 상처를 입히기 십상인데 그가 우아하게 그 일을 할 때 한 편의 영화는 마치 사지가 절단되어도 웃고 다시 붙으면 더 아름다워지는 마술쇼의 주인공처럼 보인다.
둘째, 인용. 그의 말이 지나치게 설득력이 있어 괜히 반대하고 싶어질 때쯤 되면 그는 그가 검토한 해외 인터뷰나 영화평들 중에서 중요한 코멘트를 적재적소에 인용해 독자로 하여금 이 영화의 모든 관계자들이 그의 글을 지지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
셋째, 비유. 그가 개념적, 논리적 서술을 훌륭하게 끝낸 후에 정확한 문학적 비유로 제 논지를 경쾌하게 재확인할 때면 그의 글은 매체(영상과 문장) 간 매력 대결의 현장이 되는데 그는 결코 영화를 이기려 들지 않지만 그렇다고 지지도 않는다.
넷째, 성찰. 그는 영화 서사에 잠복돼 있는 ‘윤리적’ 쟁점에 극히 민감한데 그럴 때마다 특유의 실수 없는 섬세함을 발휘해 현재로서는 우리가 도달할 수 있는 최선이 이것이겠다 싶은 결론을 속삭여주곤 한다.
세상에는 객관적으로 잘 쓴 글들이 많지만 김혜리의 글이 내게는 주관적으로도 그렇다. 그의 어휘, 수사, 리듬 등에서 나는 나를 거슬리게 하는 그 어떤 것도 발견해내지 못한다. 그는 나의 전범 중 하나다. 나는 그냥 잘 쓰고 싶은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사람처럼’ 잘 쓰고 싶다.
-------
김혜리 기자의 새 책 <나를 보는 당신을 바라보았다>에 실린 신형철 평론가의 추천사. 과연 김혜리 기자의 글만큼이나 빛나는 단정하고 정갈한 글이다. 무엇보다도 좋은 비평의 요소란 정말로 저 네 가지가 아니던가. 비평이 하나의 집이라면 분석과 인용, 비유와 성찰 저 네 기둥 중 하나만 빠져도 무너지고만다. 또 그중에서도 마술쇼의 주인공이라는 저 비유가 참 좋다. 비평이라는 권력을 남용하지 말것. 함부로 대상을 난자하고 제멋대로 파헤치지 말것. 깨진 조각과 찢어진 살점을 조심스레 주워담을 것. 결국 비평의 목적은 대상에 대한 "정확한 사랑의 실험"이니깐.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보선 - 예술가들 (3) | 2017.07.24 |
---|---|
Emily Jungmin Yoon - Time, in Whales (에밀리 정민 윤 - 시간, 고래에 담긴) (1) | 2017.05.14 |
최승자 - 기억하는가 (0) | 2017.04.06 |
홍지호 - 기후 (0) | 2017.04.01 |
허은실 - 목 없는 나날 (0) | 2017.03.30 |